|
|
HOME / 기술 이론 / 소음 이론 |
 |
|
 |
소음 |
|
 |
소음이란 원하지 않는 소리, 듣기 싫은 소리, 바람직하지 못한 소리의 총칭이다. 주로 심리적, 감각적 요인에 의하여 |
|
좌우되는 특징이 있다. |
|
소음의 표시 단위는 dB로 통상적으로 표시하며 가청주파수의 범위는 20Hz ~ 20KHz까지이며 건강한 사람의 가청음은 |
|
20dB ~ 130dB이다. 특히 청력에 좋지 않은 주파수는 3,000Hz ~ 4,000Hz의 소리이다. |
|
 |
흡음과 차음 |
|
 |
흡음 |
|
어떤 물질에 소리가 부딪혀서 반사되면서 에너지가 줄어드는 현상으로 흡음률로 평가한다.
흡음률은 소리의 주파수, 입사각, 재료두께, 설치방식 및 그 뒷면의 상황 등에 따라 다르나 여러가지 흡음률을 가진 흡음재를
사용하여 실내의 음향효과를 개선하거나, 소음레벨을 저하시키는 데 이용한다. |
 |
차음 |
|
외부와의 음의 교류 차단을 하는 것으로 투과계수로 평가된다.
투과계수 dB는 단위 면적당의 질량 m이 클수록, 음의 주파수 f가 높을수록 크며 dB = 20 log m + 20 log f - 23 으로 표시된다.
따라서 같은 물질에서 두께를 2배 두껍게 하면 투과계수는 6dB 증가하게된다. |
|
 |
소음 기준 |
|
 |
회화의 청취방해를 기초하여 정상소음의 옥타브밴드 분석 치에 대한 소음기준으로 NOISE CRITERIA (NC)라고 한다. |
|
|
|
|
NC 값에 의한 소음환경의 평가 |
|
|
|
NC 20~30 |
|
매우 조용 |
|
|
|
NC 30~35 |
|
조용, 회화거리 10M거리 까지 |
|
|
|
NC 35~40 |
|
회화거리 4M, 전화하는데 지장 없음 |
|
|
|
NC 40~50 |
|
보통 대화거리 2M, 조금 큰소리로 4M 전화 조금 곤란 |
|
|
|
NC 50~55 |
|
조금 큰소리로 대화 2M, 전화 조금 곤란,회의에는 부적당 |
|
|
|
NC 55 이상 |
|
매우 시끄러움,전화 곤란 |
|
|
|
 |
소리의 세기 |
|
|
|
|
|
소리의 세기 |
|
소리의 종류 |
|
비고 |
|
|
|
|
|
200dB |
|
로켓의 발사소리 |
|
|
|
|
|
|
|
130dB |
|
제트기소리 (30M) |
|
고통을 느끼기 시작 |
|
|
|
|
|
120dB |
|
록 그룹의 공연 |
|
들을 수 있는 한계 |
|
|
|
|
|
100dB |
|
아이울음 소리, 자동차 경적 |
|
|
|
|
|
|
|
80dB |
|
작은 차 속, 혼잡한 거리 |
|
|
|
|
|
|
|
50dB |
|
사무실, 보통의 대화 |
|
|
|
|
|
|
|
30dB |
|
차가 없는 거리 |
|
|
|
|
|
|
|
10dB |
|
나뭇잎 떨어지는 소리 |
|
|
|
|
|
|
|
0dB |
|
정적 |
|
들을 수 있는 한계 |
|
|
|
|
|
 |
소음관련 용어설명 |
|
 |
데시벨 : DECIBEL (dB) |
|
소리의 세기 및 음압 |
 |
투과 손실율 : IMPACT INSULATION CLASS (IC) |
|
바닥이나 천정공사에서의 음의 투과 손실 |
 |
차음계수 : NOISE REDUCTION COEFFICIENT |
|
특정한 중음대 주파수에서 측정되어진 흡음 계수를 나타냄 |
|
0~1.00 의 범주로 표시하며 0은 전혀 흡수하지 못하는 정도, 1.00은 완전히 흡수하는 정도로
1.00에 가까이 계수가 높을수록 흡음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 |
 |
사운드레벨 : SOUND LEVEL |
|
어떤 주파수대의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으로 A,B,C특성을 가지고 있음 |
 |
소음계 : SOUND LEVEL METER |
|
사운드 레벨을 측정하는 장비이다. 마이크,앰프,표시기 그리고 주파수의 분류규약 (PROTOCOL)을 가지고 있음 |
 |
음압 : SOUND PRESSURE LEVEL |
|
소리의 크기,세기 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dB로 나타냄 |
 |
음투과 손실율 : SOUND TRANSMISSION CLASS (STC) |
|
음이 어떤 재료나 구조물에 흡수되는 특성을 나타내는 분류이며 보통 사무실에서 벽과 파티션에 주로 사용 |
 |
투과손실 : TRANSMISSION LOSS (TL) |
|
어떤 재료나 구조물에 음이 투과될 때 얼마 정도의 dB가 감소되었는가 하는 음의 흡수성을 측정하는 방법 |
 |
스펙트럼 : SPECTRUM |
|
주파수나 음량에 따라 나타나는 소리의 특성 |
 |
흡음도 :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|
|
소리가 투과되어 흡수되는 정도 혹은 표면에서 반사가 안 되는 정도 |
 |
옥타브밴드 : OCTAVE BAND |
|
음을 분류하기 위해 들리는 소리를 주파수 대역으로 나눈 것 |
|
|
|
|
|
|
 |
|
|
|